논문 번호 | 이름(연도) | 논문 제목 | 전공 |
박대호(1990)
|
소설의 世界觀 이해와 그 文學敎育的 適用 연구
|
||
서덕현(1992)
|
학교 문법의 敬語法 기술에 관한 연구
|
||
손영애(1992)
|
국어 어휘 지도 방법의 비교 연구
|
||
이충우(1992)
|
國語敎育用 語彙 연구 - 국민학교ㆍ중학교 국어과교육용 어휘 설정을 중심으로 -
|
||
주경희(1992)
|
국어 代名詞의 談話分析的 硏究
|
||
경규진(1993)
|
反應 중심 문학교육의 방법 연구
|
||
박삼서(1993)
|
문학교육의 道敎 사상적 배경 연구
|
||
박수자(1993)
|
읽기 전략 지도 교재 구성에 관한 연구
|
||
이은희(1993)
|
接續 關係의 텍스트 언어학적 연구
|
||
이종철(1993)
|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含蓄的 表現의 연구
|
||
최영환(1993)
|
合成名詞의 지도에 대한 연구
|
||
김중신(1994)
|
敍事 텍스트의 審美的 體驗의 구조와 유형에 관한 연구
|
||
김창원(1994)
|
시 텍스트 解釋 模型의 構造와 作用에 관한 연구
|
||
박인기(1994)
|
文學敎育課程의 構造에 관한 연구
|
||
이삼형(1994)
|
說明的 텍스트의 내용 구조 분석 방법과 교육적 적용 연구
|
||
이성영(1994)
|
表現 意圖의 표현 방식에 관한 話用論的 연구
|
||
김상욱(1995)
|
小說 談論의 이데올로기 분석 방법 연구
|
||
심영택(1995)
|
문법 지식의 戰略的 擴大 使用 양상에 대한 연구
|
||
김봉순(1996)
|
텍스트 意味 構造의 標識 연구
|
||
서 혁(1996)
|
담화의 구조와 주제 구성에 관한 연구
|
||
정재찬(1996)
|
現代詩 敎育의 支配的 談論에 관한 硏究
|
||
이지호(1997)
|
燕巖 朴趾源의 글쓰기 方法論 硏究
|
||
최미숙(1997)
|
韓國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글쓰기 方式에 관한 연구
|
||
최인자(1997)
|
한국 현대소설 담론 생산 방법 연구 : 반담론과 문학교육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
최지현(1997)
|
한국근대시 정서 체험의 텍스트 조건에 관한 연구
|
||
문영진(1998)
|
한국 近代小說의 신체성 중심의 읽기에 대한 연구
|
||
송현정(1998)
|
한국어의 呼應 관계에 대한 국어교육적 연구
|
||
이도영(1998)
|
言語 使用 영역의 내용 體系에 대한 연구
|
||
노은희(1999)
|
對話 지도를 위한 반복 표현의 기능 연구
|
||
염은열(1999)
|
대상 인식과 내용 생성의 관계에 대한 表現敎育론적 연구 - 기행가사를 중심으로 -
|
||
유영희(1999)
|
이미지 形象化를 통한 시 창작 교육 연구
|
||
김혜영(2000)
|
한국 모더니즘소설의 글쓰기 방법 연구 - 시간 구성 원리를 중심으로 -
|
||
권순희(2001)
|
대화지도를 위한 ‘청자지향적 관점’의 표현 연구
|
||
김정자(2001)
|
필자의 表現 態度 연구
|
||
류수열(2001)
|
판소리 구연성의 媒體言語的 의의
|
||
김혜정(2002)
|
텍스트 理解의 과정과 전략에 관한 연구
|
||
서유경(2002)
|
共感的 自己化를 통한 문학교육연구 - 심청전의 이본생성을 중심으로 -
|
||
엄 훈(2002)
|
조선 전기 공론 論辯의 국어교육적 연구
|
||
이종순(2002)
|
中國 朝鮮族 文學敎育 硏究 - 中ㆍ高等學校 朝鮮語文科目을 中心으로 -
|
||
조희정(2002)
|
사회적 문해력으로서의 글쓰기 교육 연구 - 조선 세종조 과거시험을 중심으로 -
|
||
김수정(2003)
|
韓國語 文法 敎育을 위한 연결 어미 연구
|
||
임경순(2003)
|
경험의 敍事化 方法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연구
|
||
괵셀(2004)
|
한국어 쓰기교육 내용 구성 연구 - 터키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
||
김경주(2004)
|
읽기 교수 학습 과정에 대한 연구
|
||
김성진(2004)
|
批評 活動 敎育의 內容 硏究
|
||
김정우(2004)
|
시 解釋 敎育 內容 연구
|
||
민병곤(2004)
|
論證 敎育의 내용 연구 - 6, 8, 10학년 학습자의 작문 및 토론 분석을 바탕으로 -
|
||
신명선(2004)
|
국어 思考도구어 교육 연구
|
||
유동엽(2004)
|
論爭의 不一致 조정 양상에 관한 연구
|
||
성비락(2005)
|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文法敎育課程의 내용체계 연구
|
||
왕단(2005)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形容詞 기술과 교육방안 연구
|
||
이해영(2005)
|
中國 조선족 小說 敎育 내용 연구
|
||
정정순(2005)
|
詩的 形象性의 교육 내용 연구
|
||
주세형(2005)
|
統合的 文法 敎育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
||
김은성(2006)
|
국어 문법 교육의 態度 敎育 내용 연구
|
||
김호정(2006)
|
한국어 교육 문법의 時間 表現 연구
|
||
남민우(2006)
|
텍스트 價値 評價 活動을 위한 시교육 연구
|
||
남연(2006)
|
韓中 現·當代 文學敎育 比較 硏究
|
||
박재현(2006)
|
說得 談話의 내용 조직 교육 연구
|
||
배수찬(2006)
|
近代的 글쓰기의 형성 과정 연구
|
||
양정실(2006)
|
解釋 텍스트 쓰기의 敍事敎育 방법 연구
|
||
지현숙(2006)
|
한국어 口語 文法 능력의 과제 기반 평가 연구
|
||
진대연(2006)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能力 發達에 대한 연구
|
||
티엔티다(2006)
|
韓泰 兩國의 三國志演義 수용 비교를 통한 한국문화교육 연구
|
||
황혜진(2006)
|
價値 經驗을 위한 소설 교육 내용 연구 - 조선시대 愛情小說을 대상으로 -
|
||
고영화(2007)
|
時調 敎育의 位階化 연구
|
||
김남희(2007)
|
현대시의 抒情的 體驗 교육 연구
|
||
김미혜(2007)
|
知識 構成的 놀이로서의 시 읽기 교육 연구
|
||
박문자(2007)
|
한국어 依存構成 의미 기능과 교육방안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
|
||
박종훈(2007)
|
설명 화법의 形式化 교수 학습 방안 연구
|
||
씽니르자(2007)
|
印度人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수 학습 원리
|
||
조수진(2007)
|
한국어 말하기 敎授 原理 연구
|
||
주옥파(2007)
|
텍스트 유형 중심의 中韓 번역 교육 연구
|
||
남가영(2008)
|
문법 探究 經驗의 교육 내용 연구
|
||
어트겅체첵(2008)
|
한국어 學習者의 읽기 교수 학습 방안 연구 - 몽골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
||
정민주(2008)
|
協商 話法의 교육 내용 연구
|
||
최홍원(2008)
|
시조의 省察的 思考 교육 연구
|
||
홍혜준(2008)
|
學問 目的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 한국어 論證的 글쓰기를 중심으로 -
|
||
김근호(2009)
|
虛構 敍事 창작 교육 연구
|
||
박해연(2009)
|
韓國語 말하기 교수ㆍ학습에서의 相互作用 戰略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
|
||
엄녀(2009)
|
한국어교육을 위한 樣態 表現 교육 연구
|
||
김평원(2010)
|
말하기 評價의 분석 모형 연구
|
||
조하연(2010)
|
文學 감상 교육 연구 - 高麗俗謠를 중심으로 -
|
||
조형일(2010)
|
시소러스 기반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
||
모졸 따지아나(2010)
|
러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듣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
||
오현아(2011)
|
표현 문법 관점의 문장 초점화 교육 내용 연구
|
||
이수미(2011)
|
텍스트성에 기반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법 연구 - 자기 표현적 쓰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
|
||
이명희(2011)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화행 교육 연구
|
||
구영산(2011)
|
초등국어수업담화에서 불연속 통어의 격률에 관한 연구
|
||
이선영(2011)
|
토론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 - 초ㆍ중ㆍ고 토론대회 담화분석을 바탕으로 -
|
||
주재우(2011)
|
설(說) 양식을 활용한 설득적 글쓰기 교육 연구
|
||
손예희(2011)
|
시 교육에서 상상적 경험에 대한 연구
|
||
노금숙(2011)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문학 읽기 교육 연구
|
||
오판진(2012)
|
가면극 연행 체험 교육 연구 - 인물에 대한 공감을 중심으로 -
|
||
김현정(2012)
|
공간 중심의 강호시조 이해 교육 연구
|
||
송지언(2012)
|
시조 의미구조의 경험 교육 연구
|
||
이영호(2012)
|
학습 논술 교육 연구 - 학습 과정에서의 논증 능력을 중심으로 -
|
||
최영란(2012)
|
담화 문법 관점의 구어 종결 표현 교육 연구
|
||
박성일(2012)
|
인칭 범주에 기반한 한국어 경어법 교육 연구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
||
오지혜(2012)
|
시적 텍스트 변형을 통한 한국어 어감 이해 교육 연구
|
||
축취영(2012)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학 교육 연구 - 연암소설과 <유림외사>의 비교·탐구를 중심으로 -
|
||
남빅토르(2012)
|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연구
|
||
이기연(2012)
|
국어 어휘 평가 내용 연구
|
||
마금선(2012)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자어 교육 연구
|
||
이주영(2013)
|
자기 이미지 구성을 중심으로 한 강호가사 교육 연구
|
||
정래필(2013)
|
기억 재형상화 원리 중심의 소설 읽기 연구
|
||
민재원(2013)
|
시 읽기 교육에서 정서 체험의 구조와 작용 연구
|
||
정진석(2013)
|
윤리적 가치 중심의 소설 읽기 교육 연구
|
||
강남욱(2013)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접속문 시간 표현의 교육 내용 조직화 원리 연구
|
||
서명희(2013)
|
시교 전통의 문학교육적 의의 연구 -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창작과 영향을 중심으로 -
|
||
강보선(2013)
|
표현 어휘 신장 교육 연구
|
||
송여주(2013)
|
시화 텍스트 해석 교육 연구 - 복합양식성을 중심으로 -
|
||
김 염(2013)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영상텍스트 교육 연구
|
||
진강려(2013)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의문문의 간접화행 교육 연구
|
||
강민경(2013)
|
쓰기 윤리 교육의 내용 연구
|
||
이정찬(2013)
|
설명적 글쓰기 내용 구성 연구 - 설명 목적과 내용 구성 원리를 중심으로 -
|
||
이인화(2013)
|
소설 교육에서 해석소통의 구조와 실천에 관한 연구
|
||
이상일(2014)
|
고전소설의 인물 이해 교육 연구 - 인물정보소를 중심으로 -
|
||
홍은실(2014)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발표 교육 연구
|
||
김혜연(2014)
|
쓰기 과정에서 생성하기와 검토하기의 역동적 상호작용
|
||
김유미(2014)
|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
||
최영인(2014)
|
설득 화법의 청중 고려 양상과 교육적 적용
|
||
근보강(2014)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신장을 위한 한자어 교육 연구
|
||
마사오미(2014)
|
한국어 말하기 수행 평가 연구 - 일본 지역 학습자를 대상으로 -
|
||
이홍매(2014)
|
반응 텍스트 쓰기 중심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
김승현(2014)
|
학습 대화의 교육 내용 연구
|
||
김용(2015)
|
개념적 은유 기반의 한국어 동사 의미 교육 연구
|
||
신현단(2015)
|
한국어 문법 교수 지식 교육 연구 - 보조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
|
||
종장지(2015)
|
한국어 문법교육을 위한 표현문형 연구
|
||
우신영(2015)
|
현대소설 해석교육 연구 - 독자군별 해석텍스트의 분석을 중심으로 -
|
||
전홍(2015)
|
상호연관성 기반의 한국 현대시 이해 교육 연구 - 한ㆍ중 현대시를 중심으로 -
|
||
박안토니나(2015)
|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소설 감상 교육 연구
|
||
제민경(2015)
|
장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
||
이관희(2015)
|
학습자의 지식 구성 분석을 통한 문법 교육 내용의 조직과 표상 연구
|
||
제효봉(2015)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모국어 영향 연구
|
||
응웬 티 후옹센(2015)
|
베트남 인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 주장하는 글을 중심으로-
|
||
김서윤(2015)
|
고전소설 '천상계'의 양면성과 그 소설교육적 의의
|
||
강민규(2016)
|
독자 반응 조정 중심의 시 교육 연구
|
||
이나향(2016)
|
시조의 생산적 수용 교육 연구
|
||
푸옹마이(2016)
|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교육 연구 -텔레비전 드라마 활용을 중심으로 -
|
||
유나(2016)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구어 담화표지 교육 연구
|
||
마릉연(2016)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말뭉치 기반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내용 연구
|
||
박준홍(2016)
|
뉴스 이해 능력 신장을 위한 국어교육 내용 연구 - 틀(frame) 인식을 중심으로 -
|
||
이슬비(2016)
|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필자 태도 표현 교육 연구
|
||
이지수(2016)
|
문법 교육을 위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 연구
|
||
강미함(2016)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평서문 간접 화행의 교육 방안 연구 -지시, 거절, 질책 기능을 중심으로-
|
||
이민형(2016)
|
가치 논제 토론 수업을 위한 설계 기반 연구
|
||
서보영(2017)
|
고전소설 삽화 재구성 교육 연구 - <춘향전> 이본을 중심으로
|
||
유민애(2017)
|
맥락 중심의 한국어 담화문법 교육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 |
||
이명봉(2017)
|
문학 비평 텍스트를 활용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
황윤정(2017)
|
신화소 중심의 설화 이해 교육 연구
|
||
이상아(2017)
|
아이러니를 통한 반성적 시 읽기 교육 연구
|
||
최주희(2017)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 논문 작성 과정 연구
|
||
신필여(2017)
|
한국어 학습자 담화의 시제 사용 양상 연구
|
||
벌러러(2017)
|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 교육 연구
|
||
김혜진(2017)
|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소설 교육 연구
|
||
폴리롱(2017)
|
홍콩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과 거절 화행 양상 연구
|
||
조진수(2018)
|
문법 문식성 관점의 문장 구조 교육 내용 연구
|
||
박민신(2018)
|
의미 범주 기반 한국어 이유 표현 교육 연구
|
||
남지애(2018)
|
문법 탐구 공동체의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
||
백정이(2018)
|
학습 목적의 대화적 발표 교육 연구
|
||
이해숙(2018)
|
문법 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과내용지식 연구
|
||
박성석(2018)
|
대화 성찰 태도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
||
장성민(2018)
|
귀추적 사고 기반의 학습 목적 글쓰기 교육 연구
|
||
오윤주(2018)
|
심미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교육 경험 연구
|
||
맹강(2018)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증적 글쓰기 교육 연구
|
||
홍진혁(2018)
|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
||
박은진(2019)
|
조선시대 소설비평의 소설교육론적 연구
|
국어교육
|
|
정보미(2019)
|
플롯 중심의 고전소설 교육 연구 -17세기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김지혜(2019)
|
다문화 소설을 통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이종원(2019)
|
시적 주체 구성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홍인영(2019)
|
소설의 수사적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최소영(2019) | 언어 변화 기반 국어사 교육 설계 연구 | 국어교육 | |
박혜진(2019) | 표현론적 관점의 단어 형성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권은선(2019) | 디지털 환경에서 청소년의 비판적 문식성 실천에 대한 문화기술지적 사례연구 -대안고등학교 웹저널 동아리 사례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진씨벽봉(2019) | 베트남인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춘향전> 교육 연구 -<취교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이성준(2019) |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채점 변인 연구 -채점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왕녕(2019) |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반한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강효경(2019) | 설득 목적 글쓰기의 양태 표현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강수(2019)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맥락 요인 중심의 상대높임법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서만(2020)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더' 결합형 연결어미 및 종결어미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신범숙(2020) | 한국어(KSL) 학습자의 학업 문식성 향상을 위한 교과 언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박진희(2020) | 국어 인용 표현의 해석적 사용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진가연(2020) | 윤리성 기반의 시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차경미(2020) | 국어 어휘 수행 전략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강경민(2020) | 한국어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두르순(2020) | 터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감정 표현 어휘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김가람(2020) |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코드 스위칭 양상과 맥락 요인 연구 | 한국어교육 | |
장지혜(2020) | 가치 해석 글쓰기의 정당화 기제 생성 연구 | 국어교육 | |
소지영(2020) | 학문 문식성 신장을 위한 기능적 메타언어 관점의 문법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최선희(2020) | 문장 구조 교육의 종적 연계 원리와 실제 연구 | 국어교육 | |
김풀잎(2020) | 한국어 구어 문법의 종결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박주형(2021) | 시 교육에서 감각적 체험의 구조와 활성화 원리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
박종관(2021) | 비규범 표기 분석을 통한 표기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
박성(2021)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인문지식 교육 연구 -한국 현대시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황티장(2021) |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학 문식성 교육 연구 -한국과 베트남 문학 작품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김민재(2021) | 시 인식 중심의 심미적 문식성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정하라(2021) |
한국어 관련 전공 베트남 대학원생의 학습과정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베트남 유학생의 학습생애사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리위(2021) |
조선족 학습자의 경험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이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한설옥(2021) |
번역을 활용한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김효정(2021) | 고전소설의 대화적 이해 교육 연구 -<심청전> 이본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김정은(2021) | 양태 표현 선택에 대한 문법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
딴다죠(2021) |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지언어학적 관점의 격조사 교육 연구 -‘-에’, ‘-에서’, ‘(으)로’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김영(2021) | 구성적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감상교육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 | |
웬신(2022)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단모음 발음 교육 연구 –실험음성학적 분석과 학습자의 인식 조사를 활용하여- |
한국어교육 | |
진영하(2022)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시간 은유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가맹맹(2022)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억양 교육 연구 -핵억양과 말토막 억양의 기능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