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학위
논문 번호 | 이름(연도) | 논문 제목 | 전공 |
---|---|---|---|
김진아(2021) | 영화적 기법을 활용한 모더니즘시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안혜령(2021) | 자화상 시 쓰기를 통한 청소년의 자아성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주양희(2021) | 외국인학교 청소년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임가(2021)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적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사회‧역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채몽영(2021) | 한국 현대시의 상징 이해를 통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정몽결(2021) | <전등신화>와의 비교를 통한 <금오신화> 교육연구 –여귀(女鬼)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최혜진(2021) | 고등학교 학습자의 오개념 분석을 통한 한글 맞춤법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이진주(2021) | 한국어 대립 표현 유사 연결어미 교육 내용 연구 -‘지만’,‘-는데’,‘-으면서’,‘-더니’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강성가(2021) |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반복형 연결어미 사용 및 이해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 | |
양비(2021)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위성 의존명사 사용 및 오류 양상 연구 –학습자 말뭉치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현미정(2021) | 제2언어로서의 조선어 사용자의 어휘 능력과 영향요인 연구 | 한국어교육 | |
이민경(2021) | 다초점화를 통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이수진(2021) | 독자 기대지평 변화에 따른 소설 읽기 교육 연구 –젠더인식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이수연(2021) | 담화적 자아의 개념을 활용한 문장 표현 교육 연구 –중학교 3학년 학습자의 설득 목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나상수(2021) | 문법 탐구에서의 가설 생성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조방방(2021)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부사 부정극어 유의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김유나(2021) | 한국어 호칭어 사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한국어교육 | |
김용걸(2021) | 귀국 대학생의 다중언어 습득과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한국어교육 | |
그레이스(2021) | 영어권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상대높임 사용 및 인지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 | |
손수수(2021) | 한국어(KSL) 말하기 평가에서의 채점 경향과 과정연구 | 한국어교육 | |
박지수(2021) | 한국어 쓰기 평가의 채점자 요인 연구 | 한국어교육 | |
송창경(2021) | 고쳐 말하기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습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교육 | |
정혜윤(2021)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사동문 처리 및 습득 연구 –온라인 ERP 실험과 오프라인 GJT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이혜린(2021) | 시조의 형식미 경험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송미지(2021) | 명사 시어의 의미 분류 중심의 고전시가 이해 교육 연구 -<관동별곡>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전희정(2021) | 단독자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청소년소설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곽자청(2022)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판소리 <적벽가(赤壁歌)> 교육 연구 –중국 양주평화(楊州評話)<화소적벽(火燒赤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정려민(2022) | 메타적 인식을 통한 조선족 한국어 학습자 표기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유일몽(2022)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비명시적 부정표현 교육 연구 -중국인 고급학습자의 구어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임가봉(2022) | 상태변화 구문 ‘-어지다’와 ‘-게 되다’의 교육 내용 연구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 | |
권아람(2022) | 온-오프라인 혼합형 <국어> 수업에 관한 미시문화기술지적 담화분석 연구 -소집단 대화의 재맥락화 양상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티파니(2022) | 홍콩 학습자의 한국어(L3) 습득 영향 요인 분석 | 한국어교육 | |
주결(2022)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금지 화행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 | |
김한성(2022) | 한국어 이동동사구문에서의 조사 선택 양상 연구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화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 | |
정은선(2022) | 사설시조 희극성 교육 연구 -웃음 유형별 학습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왕샤오위(2022) | 상호문화능력의 신장을 위한 한국 기녀시가 교육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 | |
황지애(2022) | 현대시를 활용한 한국 가치문화 교육 연구 -‘가족주의’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김제훈(2022) | 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과학소설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최수현(2022) | 인물 젠더 구성을 통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 – 퀴어 인물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
김신원(2022) | 상소문의 독자 구성 양상 연구 | 국어교육 | |
윤정미(2022) | <심청전>과 <沈봉사>의 상호텍스트적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이유진(2022) | 의미·기능 중심의 피동 표현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조미현(2022) | 언어 표현을 통한 공손성 조절 교육 연구 -부탁 화행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이진현(2022) | 청소년 언어를 활용한 중등 학습자의 언어 정체성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진로(2022)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교육 연구 -‘(이)나’ ‘(이)라도’, ‘(이)나마’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리저난(2022)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명사화소 의미기능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조이범(2022) | 피드백 제시 시기가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 -거절 화행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김여진(2022) | 한국어 학습자 학술보고서의 지시어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 | |
사아정(2022)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상에 따른 관형사형 어미 습득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 | |
하재희(2022) | 메타언어적 피드백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쓰기의 형태적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교육 | |
김지영(2022) | 한국어 쓰기 평가에서 채점자 간 협의 과정이 채점자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교육 | |
안이진(2023) | 설득 텍스트에서의 독자 지향적 표현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이정민(2023) | 어휘 능력 신장을 위한 어휘 바꿔쓰기 전략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이상재(2023) | 문어 텍스트에서의 구어체 표현 활용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배교선(2023) | 청소년의 공감능력 함양을 위한 허난설헌 시가 교육 연구-‘소수자성’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장문정(2023) | 소설 읽기를 통한 죽음 성찰 교육 | 국어교육 | |
이성호(2023) | 게임 서사 체험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우수연(2023) | 목소리에 주목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양양(2023)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인용표현 의미 기능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 | |
세바라(2023) | 우즈베키스탄 배경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높임법 습득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한국어교육 | |
이영(2023)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 이해 및 사용 양상 연구-‘-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말다’, ‘-어 놓다’, ‘-어 두다’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양혜연(2023)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바일 러닝에서 나타난 자기조절학습 양상에 대한 사례연구 | 한국어교육 | |
이몽척(2023) | 생산 지향 교수법(POA)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중국 내 대학 교양한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진예린(2023) | 단서 경쟁 모형에 기반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가’와 ‘은/는’의 습득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 | |
양림(2023) | 한·중 어부가 비교를 통한 <어부사시사>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김윤영(2023) |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적 현대시 감상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김효정(2023) | 시적 몽상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최형우(2023) | 핵심 질문에 근거한 비판적 언어 인식 교육 설계 연구 | 국어교육 | |
유자림(2023) | 교수언어로서의 학습자 모어 사용 기능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 대상 한국어 문법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원도연(2023) | 정보구조에 의한 한국어 조사 교육 연구 – ‘은/는’, ‘이/가’, ‘을/를’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유아신(2023)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소설 교육 연구 -사회ᆞ역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마쟈오쟈오(2023)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의 이미지 교육 연구 -의상(意象)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경흔이(2023)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동동사 ‘가다, 오다’ 의미기능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박원혜(2023) |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체언+용언’형 관용표현 이해 및 산출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 | |
송규민(2023) | 과제 변인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 말하기 수행 연구 | 한국어교육 | |
니콜 츄프리나(2023) | 독일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 상황ᆞ맥락에서의 이메일 요청 화행 연구 | 한국어교육 | |
김동매(2023)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반복상 시간부사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고예은(2024) | 학습자의 문법 용어 표상 방식 분석을 통한 문법 개념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
김효정(2024) | 모티프 중심의 설화 읽기 교육 연구: <우렁각시>, <선녀와 나무꾼>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지서영(2024) | 고등학생의 논증적 글에 나타난 무브 양상 분석 | 국어교육 | |
손지현(2024) | 인용술어에 대한 문법교육 내용 연구 – 고등학교 학습자의 선택 양상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
김승정(2024) | 사회정서역량 함양을 위한 문법 교육의 경험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
유선진(2024) | 국어 규범에 대한 학습자 태도 유형 연구 – 국어 규범의 이데올로기적 속성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이진은(2024) | 청소년의 서사 읽기 동기 연구 | 국어교육 | |
양양(2024) | 한·중 고전시가의 자연물 이미지 비교를 통한 한국 시조 교육 연구 -새 이미지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유가흔(2024) | 중국 시가와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관동별곡>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강옥영(2024) |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쓰기 피드백 실천 과정 연구 | 한국어교육 | |
안혜인(2024) | 재미동포 아동 학습자의 한국어 격조사 습득 양상 연구 – ‘이/가’, ‘을/를’, ‘에’, ‘에서’를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 | |
장자의(2024)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말하기 수행 불안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 | |
트룩 지앙 하(2024) | 사회적 변인에 따른 한국어 요청 화행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 – 직업 목적의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주사선(2024)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관계절 처리 및 언어적 단서 활용 연구 – 자가조절읽기 실험 과제를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 | |
고은실(2024) | 한국어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 구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중도 입국 청소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 | 한국어교육 | |
실바나(2024) | 한국어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 반응과 인식 연구 – 콜롬비아 온라인 초급 한국어 수업을 대상으로 – | 한국어교육 | |
김기찬(2024) | 재미 한국어 계승어 학습자의 한국어 내러티브 구성 연구 | 한국어교육 | |
조유진(2024) | 귀국학습 교사의 정체성 위기 극복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어 교육과정, 교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박은빈(2024) | 한국어 학습자(KSL)를 위한 형성 평가로서의 포트폴리오 평가 연구 | 한국어교육 | |
민소연(2024) |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 연구 : 자유 회상 과제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하지연(2024) | 한국어 학습자의 논증적 글쓰기에 나타난 필자 태도 연구: 문장 종결 표현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정현선(2024) | 열정적 독자 정체성이 독자 교사(Teachers as Readers)를 보장하는가? | 국어교육 | |
동요(2024)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시간서술기법 이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
양샤오멍(2024)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태 의존명사 구성 교육 연구: 인식 양태 ‘확실성’ 정도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마총(2024) | 죽음 모티프 중심 시조 교육 연구: 중국 당송 시가와의 비교를 통하여 | 한국어교육 | |
김명주(2024) | 신문 기사 역번역문에 나타난 영어권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표현 연구 | 한국어교육 | |
음소현(2024) | 협력적 글쓰기 모둠 내 학습자 참여에 따른 쓰기 학습 양상 연구 | 국어교육 | |
한지연(2024) | 생태소설 교육 연구: 학습 독자의 생태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
신채은(2024) | 수용자 몽타주를 중심으로 한 영화서사 이해 교육 | 국어교육 | |
왕문혜(2024)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메타화용인식 교육 연구: 한국어 구어 종결어미 ‘-잖아(요)’, ‘-거든(요)’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박종찬(2024)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 한자어 재인 연구: 음운 정보와 의미 정보의 영향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안소현(2024)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산출 양상 연구: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
강남(2024) | 중국인 유학생의 학문 목적 한국어 논문 읽기 학습 과정 연구 | 한국어교육 | |
오소연(2024) | 문서 모형 기반 중학생의 다문서 이해에 관한 사례연구: 의미 표상 시각화 및 정보원 평가 명시화 전략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