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학위

논문 번호이름(연도)논문 제목전공
 김진아(2021)영화적 기법을 활용한 모더니즘시 읽기 교육 연구국어교육
 안혜령(2021)자화상 시 쓰기를 통한 청소년의 자아성찰 교육 연구국어교육
 주양희(2021)외국인학교 청소년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중심으로-한국어교육
 임가(2021)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적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사회‧역사적 맥락을 중심으로-한국어교육
 채몽영(2021)한국 현대시의 상징 이해를 통한 상호문화교육 연구한국어교육
 정몽결(2021)<전등신화>와의 비교를 통한 <금오신화> 교육연구 –여귀(女鬼)를 중심으로–한국어교육
 최혜진(2021)고등학교 학습자의 오개념 분석을 통한 한글 맞춤법 교육 연구국어교육
 이진주(2021)한국어 대립 표현 유사 연결어미 교육 내용 연구 -‘지만’,‘-는데’,‘-으면서’,‘-더니’를 중심으로한국어교육
 강성가(2021)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반복형 연결어미 사용 및 이해 양상 연구한국어교육
 양비(2021)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위성 의존명사 사용 및 오류 양상 연구 –학습자 말뭉치를 중심으로한국어교육
 현미정(2021)제2언어로서의 조선어 사용자의 어휘 능력과 영향요인 연구한국어교육
 이민경(2021)다초점화를 통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국어교육
 이수진(2021)독자 기대지평 변화에 따른 소설 읽기 교육 연구 –젠더인식을 중심으로–국어교육
 이수연(2021)담화적 자아의 개념을 활용한 문장 표현 교육 연구 –중학교 3학년 학습자의 설득 목적 텍스트를 중심으로–국어교육
 나상수(2021)문법 탐구에서의 가설 생성 교육 연구국어교육
 조방방(2021)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부사 부정극어 유의어 교육 연구한국어교육
 김유나(2021)한국어 호칭어 사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한국어교육
 김용걸(2021)귀국 대학생의 다중언어 습득과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한국어교육
 그레이스(2021)영어권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상대높임 사용 및 인지양상 연구한국어교육
 손수수(2021)한국어(KSL) 말하기 평가에서의 채점 경향과 과정연구한국어교육
 박지수(2021)한국어 쓰기 평가의 채점자 요인 연구한국어교육
 송창경(2021)고쳐 말하기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습득에 미치는 영향 연구한국어교육
 정혜윤(2021)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사동문 처리 및 습득 연구 –온라인 ERP 실험과 오프라인 GJT를 중심으로-한국어교육
 이혜린(2021)시조의 형식미 경험 교육 연구국어교육
 송미지(2021)명사 시어의 의미 분류 중심의 고전시가 이해 교육 연구 -<관동별곡>을 중심으로-국어교육
 전희정(2021)단독자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청소년소설 교육 연구국어교육
 곽자청(2022)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판소리 <적벽가(赤壁歌)> 교육 연구 –중국 양주평화(楊州評話)<화소적벽(火燒赤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한국어교육
 정려민(2022)메타적 인식을 통한 조선족 한국어 학습자 표기 교육 연구한국어교육
 유일몽(2022)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비명시적 부정표현 교육 연구 -중국인 고급학습자의 구어교육을 중심으로-한국어교육
 임가봉(2022)상태변화 구문 ‘-어지다’와 ‘-게 되다’의 교육 내용 연구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한국어교육
 권아람(2022)온-오프라인 혼합형 <국어> 수업에 관한 미시문화기술지적 담화분석 연구 -소집단 대화의 재맥락화 양상을 중심으로-국어교육
 티파니(2022)홍콩 학습자의 한국어(L3) 습득 영향 요인 분석한국어교육
 주결(2022)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금지 화행 교육 방안 연구한국어교육
 김한성(2022)한국어 이동동사구문에서의 조사 선택 양상 연구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화자를 대상으로-한국어교육
 정은선(2022)사설시조 희극성 교육 연구 -웃음 유형별 학습자의 반응을 중심으로-국어교육
 왕샤오위(2022)상호문화능력의 신장을 위한 한국 기녀시가 교육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한국어교육
 황지애(2022)현대시를 활용한 한국 가치문화 교육 연구 -‘가족주의’를 중심으로-한국어교육
 김제훈(2022)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과학소설 교육 연구국어교육
 최수현(2022)인물 젠더 구성을 통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 – 퀴어 인물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김신원(2022)상소문의 독자 구성 양상 연구국어교육
 윤정미(2022)<심청전>과 <沈봉사>의 상호텍스트적 읽기 교육 연구국어교육
 이유진(2022)의미·기능 중심의 피동 표현 교육 연구국어교육
 조미현(2022)언어 표현을 통한 공손성 조절 교육 연구 -부탁 화행을 중심으로-국어교육
 이진현(2022)청소년 언어를 활용한 중등 학습자의 언어 정체성 교육 연구국어교육
 진로(2022)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교육 연구 -‘(이)나’ ‘(이)라도’, ‘(이)나마’를 중심으로-한국어교육
 리저난(2022)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명사화소 의미기능 교육 연구한국어교육
 조이범(2022)피드백 제시 시기가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 -거절 화행을 중심으로-한국어교육
 김여진(2022)한국어 학습자 학술보고서의 지시어 사용 양상 연구한국어교육
 사아정(2022)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상에 따른 관형사형 어미 습득 양상 연구한국어교육
 하재희(2022)메타언어적 피드백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쓰기의 형태적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한국어교육
 김지영(2022)한국어 쓰기 평가에서 채점자 간 협의 과정이 채점자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한국어교육
 안이진(2023)설득 텍스트에서의 독자 지향적 표현 교육 연구국어교육
 이정민(2023)어휘 능력 신장을 위한 어휘 바꿔쓰기 전략 교육 연구국어교육
 이상재(2023)문어 텍스트에서의 구어체 표현 활용 교육 연구국어교육
 배교선(2023)청소년의 공감능력 함양을 위한 허난설헌 시가 교육 연구-‘소수자성’을 중심으로-국어교육
 장문정(2023)소설 읽기를 통한 죽음 성찰 교육국어교육
 이성호(2023)게임 서사 체험 교육 연구국어교육
 우수연(2023)목소리에 주목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국어교육
 양양(2023)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인용표현 의미 기능 사용 양상 연구한국어교육
 세바라(2023)우즈베키스탄 배경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높임법 습득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한국어교육
 이영(2023)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 이해 및 사용 양상 연구-‘-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말다’, ‘-어 놓다’, ‘-어 두다’를 중심으로-한국어교육
 양혜연(2023)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바일 러닝에서 나타난 자기조절학습 양상에 대한 사례연구한국어교육
 이몽척(2023)생산 지향 교수법(POA)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중국 내 대학 교양한국어 수업을 중심으로-한국어교육
 진예린(2023)단서 경쟁 모형에 기반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가’와 ‘은/는’의 습득 양상 연구한국어교육
 양림(2023)한·중 어부가 비교를 통한 <어부사시사> 교육 연구한국어교육
 김윤영(2023)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적 현대시 감상 교육 연구한국어교육
 김효정(2023)시적 몽상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 교육 연구국어교육
 최형우(2023)핵심 질문에 근거한 비판적 언어 인식 교육 설계 연구국어교육
 유자림(2023)교수언어로서의 학습자 모어 사용 기능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 대상 한국어 문법 수업을 중심으로한국어교육
 원도연(2023)정보구조에 의한 한국어 조사 교육 연구 – ‘은/는’, ‘이/가’, ‘을/를’을 중심으로한국어교육
 유아신(2023)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소설 교육 연구 -사회ᆞ역사적 맥락을 중심으로-한국어교육
 마쟈오쟈오(2023)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의 이미지 교육 연구 -의상(意象) 인식을 중심으로-한국어교육
 경흔이(2023)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동동사 ‘가다, 오다’ 의미기능 교육 연구한국어교육
 박원혜(2023)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체언+용언’형 관용표현 이해 및 산출 양상 연구한국어교육
 송규민(2023)과제 변인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 말하기 수행 연구한국어교육
 니콜 츄프리나(2023)독일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 상황ᆞ맥락에서의 이메일 요청 화행 연구한국어교육
 김동매(2023)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반복상 시간부사 교육 연구한국어교육
 고예은(2024)학습자의 문법 용어 표상 방식 분석을 통한 문법 개념 교육 연구국어교육
 김효정(2024)모티프 중심의 설화 읽기 교육 연구: <우렁각시>, <선녀와 나무꾼>을 중심으로국어교육
 지서영(2024)고등학생의 논증적 글에 나타난 무브 양상 분석국어교육
 손지현(2024)인용술어에 대한 문법교육 내용 연구 – 고등학교 학습자의 선택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김승정(2024)사회정서역량 함양을 위한 문법 교육의 경험 내용 연구국어교육
 유선진(2024)국어 규범에 대한 학습자 태도 유형 연구 – 국어 규범의 이데올로기적 속성을 중심으로국어교육
 이진은(2024)청소년의 서사 읽기 동기 연구국어교육
 양양(2024)한·중 고전시가의 자연물 이미지 비교를 통한 한국 시조 교육 연구 -새 이미지를 중심으로-한국어교육
 유가흔(2024)중국 시가와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관동별곡> 교육 연구한국어교육
 강옥영(2024)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쓰기 피드백 실천 과정 연구한국어교육
 안혜인(2024)재미동포 아동 학습자의 한국어 격조사 습득 양상 연구 – ‘이/가’, ‘을/를’, ‘에’, ‘에서’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장자의(2024)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말하기 수행 불안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트룩 지앙 하(2024)사회적 변인에 따른 한국어 요청 화행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 – 직업 목적의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한국어교육
 주사선(2024)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관계절 처리 및 언어적 단서 활용 연구 – 자가조절읽기 실험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고은실(2024)한국어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 구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중도 입국 청소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실바나(2024)한국어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 반응과 인식 연구 – 콜롬비아 온라인 초급 한국어 수업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김기찬(2024)재미 한국어 계승어 학습자의 한국어 내러티브 구성 연구한국어교육
 조유진(2024)귀국학습 교사의 정체성 위기 극복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어 교육과정, 교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한국어교육
 박은빈(2024)

한국어 학습자(KSL)를 위한 형성 평가로서의 포트폴리오 평가 연구

한국어교육
 민소연(2024)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 연구

: 자유 회상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하지연(2024)

한국어 학습자의 논증적 글쓰기에 나타난 필자 태도 연구: 문장 종결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정현선(2024)

열정적 독자 정체성이 독자 교사(Teachers as Readers)를 보장하는가?

국어교육
 동요(2024)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시간서술기법 이해 교육 연구

한국어교육
 양샤오멍(2024)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태 의존명사 구성 교육 연구: 인식 양태 ‘확실성’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마총(2024)

죽음 모티프 중심 시조 교육 연구: 중국 당송 시가와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어교육
 김명주(2024)

신문 기사 역번역문에 나타난 영어권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표현 연구

한국어교육
 음소현(2024)

협력적 글쓰기 모둠 내 학습자 참여에 따른 쓰기 학습 양상 연구

국어교육
 한지연(2024)

생태소설 교육 연구: 학습 독자의 생태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신채은(2024)

수용자 몽타주를 중심으로 한 영화서사 이해 교육

국어교육
 왕문혜(2024)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메타화용인식 교육 연구: 한국어 구어 종결어미 ‘-잖아(요)’, ‘-거든(요)’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박종찬(2024)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 한자어 재인 연구: 음운 정보와 의미 정보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안소현(2024)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산출 양상 연구: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강남(2024)

중국인 유학생의 학문 목적 한국어 논문 읽기 학습 과정 연구

한국어교육
 오소연(2024)

문서 모형 기반 중학생의 다문서 이해에 관한 사례연구: 의미 표상 시각화 및 정보원 평가 명시화 전략을 중심으로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