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학위
이름(연도) | 논문 제목 | 전공 |
---|---|---|
박대호(1990)
|
소설의 세계관 이해와 그 문학교육적 적용 연구
|
국어교육 |
서덕현(1992)
|
학교 문법의 경어법 기술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손영애(1992)
|
국어 어휘 지도 방법의 비교 연구
|
국어교육 |
이충우(1992)
|
국어교육용 어휘 연구 – 국민학교ㆍ중학교 국어과교육용 어휘 설정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주경희(1992)
|
국어 대명사의 담화분석적 연구
|
국어교육 |
경규진(1993)
|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법 연구
|
국어교육 |
박삼서(1993)
|
문학교육의 도교 사상적 배경 연구
|
국어교육 |
박수자(1993)
|
읽기 전략 지도 교재 구성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이은희(1993)
|
접속 관계의 텍스트 언어학적 연구
|
국어교육 |
이종철(1993)
|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함축적 표현의 연구
|
국어교육 |
최영환(1993)
|
합성명사의 지도에 대한 연구
|
국어교육 |
김중신(1994)
|
서사 텍스트의 심미적 체험의 구조와 유형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김창원(1994)
|
시 텍스트 해석 모형의 구조와 작용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박인기(1994)
|
문학교육과정의 구조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이삼형(1994)
|
설명적 텍스트의 내용 구조 분석 방법과 교육적 적용 연구
|
국어교육 |
이성영(1994)
|
표현 의도의 표현 방식에 관한 화용론적 연구
|
국어교육 |
김상욱(1995)
|
소설 담론의 이데올로기 분석 방법 연구
|
국어교육 |
심영택(1995)
|
문법 지식의 전략적 확대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
국어교육 |
김봉순(1996)
|
텍스트 의미 구조의 표지 연구
|
국어교육 |
서 혁(1996)
|
담화의 구조와 주제 구성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정재찬(1996)
|
현대시 교육의 지배적 담론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이지호(1997)
|
연암 박지원의 글쓰기 방법론 연구
|
국어교육 |
최미숙(1997)
|
한국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글쓰기 방식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최인자(1997)
|
한국 현대소설 담론 생산 방법 연구 : 반담론과 문학교육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최지현(1997)
|
한국근대시 정서 체험의 텍스트 조건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문영진(1998)
|
한국 근대소설의 신체성 중심의 읽기에 대한 연구
|
국어교육 |
송현정(1998)
|
한국어의 호응 관계에 대한 국어교육적 연구
|
국어교육 |
이도영(1998)
|
언어 사용 영역의 내용 체계에 대한 연구
|
국어교육 |
노은희(1999)
|
대화 지도를 위한 반복 표현의 기능 연구
|
국어교육 |
염은열(1999)
|
대상 인식과 내용 생성의 관계에 대한 표현교육론적 연구 – 기행가사를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유영희(1999)
|
이미지 형상화를 통한 시 창작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김혜영(2000)
|
한국 모더니즘소설의 글쓰기 방법 연구 – 시간 구성 원리를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권순희(2001)
|
대화지도를 위한 ‘청자지향적 관점’의 표현 연구
|
국어교육 |
김정자(2001)
|
필자의 표현 태도 연구
|
국어교육 |
류수열(2001)
|
판소리 구연성의 매체언어적 의의
|
국어교육 |
김혜정(2002)
|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전략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서유경(2002)
|
공감적 자기화를 통한 문학교육연구 – 심청전의 이본생성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엄 훈(2002)
|
조선 전기 공론 논변의 국어교육적 연구
|
국어교육 |
이종순(2002)
|
중국 조선족 문학교육 연구 -중ㆍ고등학교 조선어문과목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조희정(2002)
|
사회적 문해력으로서의 글쓰기 교육 연구 – 조선 세종조 과거시험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김수정(2003)
|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연결 어미 연구
|
한국어교육 |
임경순(2003)
|
경험의 서사화 방법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연구
|
국어교육 |
괵셀(2004)
|
한국어 쓰기교육 내용 구성 연구 – 터키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
한국어교육 |
김경주(2004)
|
읽기 교수 학습 과정에 대한 연구
|
국어교육 |
김성진(2004)
|
비평 활동 교육의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김정우(2004)
|
시 해석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민병곤(2004)
|
논증 교육의 내용 연구 – 6, 8, 10학년 학습자의 작문 및 토론 분석을 바탕으로 –
|
국어교육 |
신명선(2004)
|
국어 사고도구어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유동엽(2004)
|
논쟁의 불일치 조정 양상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성비락(2005)
|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교육과정의 내용체계 연구
|
한국어교육 |
왕단(2005)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기술과 교육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 |
이해영(2005)
|
중국 조선족 소설 교육 내용 연구
|
한국어교육 |
정정순(2005)
|
시적 형상성의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주세형(2005)
|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
국어교육 |
김은성(2006)
|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김호정(2006)
|
한국어 교육 문법의 시간 표현 연구
|
한국어교육 |
남민우(2006)
|
텍스트 가치 평가 활동을 위한 시교육 연구
|
국어교육 |
남연(2006)
|
한중 현·당대 문학교육 비교 연구
|
한국어교육 |
박재현(2006)
|
설득 담화의 내용 조직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배수찬(2006)
|
근대적 글쓰기의 형성 과정 연구
|
국어교육 |
양정실(2006)
|
해석 텍스트 쓰기의 서사교육 방법 연구
|
국어교육 |
지현숙(2006)
|
한국어 구어 문법 능력의 과제 기반 평가 연구
|
한국어교육 |
진대연(2006)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발달에 대한 연구
|
한국어교육 |
티엔티다(2006)
|
한·태 양국의 삼국지연의 수용 비교를 통한 한국문화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황혜진(2006)
|
가치 경험을 위한 소설 교육 내용 연구 – 조선시대 애정소설을 대상으로 –
|
국어교육 |
고영화(2007)
|
시조 교육의 위계화 연구
|
국어교육 |
김남희(2007)
|
현대시의 서정적 체험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김미혜(2007)
|
지식 구성적 놀이로서의 시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박문자(2007)
|
한국어 의존구성 의미 기능과 교육방안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
|
한국어교육 |
박종훈(2007)
|
설명 화법의 형식적 교수 학습 방안 연구
|
국어교육 |
씽니르자(2007)
|
인도인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수 학습 원리
|
한국어교육 |
조수진(2007)
|
한국어 말하기 교수 원리 연구
|
한국어교육 |
주옥파(2007)
|
텍스트 유형 중심의 중한 번역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남가영(2008)
|
문법 탐구 경험의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어트겅체첵(2008)
|
한국어의 읽기 교수 학습 방안 연구 – 몽골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
한국어교육 |
정민주(2008)
|
협상 화법의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최홍원(2008)
|
시조의 성찰적 사고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홍혜준(2008)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 한국어 논증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 |
김근호(2009)
|
허구 서사 창작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박해연(2009)
|
한국어 말하기 교수ㆍ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전략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
|
한국어교육 |
엄녀(2009)
|
한국어교육을 위한 양태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김평원(2010)
|
말하기 평가의 분석 모형 연구
|
국어교육 |
조하연(2010)
|
문학 감상 교육 연구 – 고려속요를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조형일(2010)
|
시소러스 기반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모졸따지아나(2010)
|
러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듣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
한국어교육 |
오현아(2011)
|
표현 문법 관점의 문장 초점화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이수미(2011)
|
텍스트성에 기반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법 연구 – 자기 표현적 쓰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 |
이명희(2011)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화행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구영산(2011)
|
초등국어수업담화에서 불연속 통어의 격률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이선영(2011)
|
토론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 – 초ㆍ중ㆍ고 토론대회 담화분석을 바탕으로 –
|
국어교육 |
주재우(2011)
|
설(說) 양식을 활용한 설득적 글쓰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손예희(2011)
|
시 교육에서 상상적 경험에 대한 연구
|
국어교육 |
노금숙(2011)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문학 읽기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오판진(2012)
|
가면극 연행 체험 교육 연구 – 인물에 대한 공감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김현정(2012)
|
공간 중심의 강호시조 이해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송지언(2012)
|
시조 의미구조의 경험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이영호(2012)
|
학습 논술 교육 연구 – 학습 과정에서의 논증 능력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최영란(2012)
|
담화 문법 관점의 구어 종결 표현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박성일(2012)
|
인칭 범주에 기반한 한국어 경어법 교육 연구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
한국어교육 |
오지혜(2012)
|
시적 텍스트 변형을 통한 한국어 어감 이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축취영(2012)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학 교육 연구 – 연암소설과 <유림외사>의 비교·탐구를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 |
남빅토르(2012)
|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연구
|
한국어교육 |
이기연(2012)
|
국어 어휘 평가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마금선(2012)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자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이주영(2013)
|
자기 이미지 구성을 중심으로 한 강호가사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정래필(2013)
|
기억 재형상화 원리 중심의 소설 읽기 연구
|
국어교육 |
민재원(2013)
|
시 읽기 교육에서 정서 체험의 구조와 작용 연구
|
국어교육 |
정진석(2013)
|
윤리적 가치 중심의 소설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강남욱(2013)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접속문 시간 표현의 교육 내용 조직화 원리 연구
|
한국어교육 |
서명희(2013)
|
시교 전통의 문학교육적 의의 연구 –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창작과 영향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강보선(2013)
|
표현 어휘 신장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송여주(2013)
|
시화 텍스트 해석 교육 연구 – 복합양식성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김 염(2013)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영상텍스트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진강려(2013)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의문문의 간접화행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강민경(2013)
|
쓰기 윤리 교육의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이정찬(2013)
|
설명적 글쓰기 내용 구성 연구 – 설명 목적과 내용 구성 원리를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이인화(2013)
|
소설 교육에서 해석소통의 구조와 실천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이상일(2014)
|
고전소설의 인물 이해 교육 연구 – 인물정보소를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홍은실(2014)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발표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김혜연(2014)
|
쓰기 과정에서 생성하기와 검토하기의 역동적 상호작용
|
국어교육 |
김유미(2014)
|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최영인(2014)
|
설득 화법의 청중 고려 양상과 교육적 적용
|
국어교육 |
근보강(2014)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신장을 위한 한자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마사오미(2014)
|
한국어 말하기 수행 평가 연구 – 일본 지역 학습자를 대상으로 –
|
한국어교육 |
이홍매(2014)
|
반응 텍스트 쓰기 중심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김승현(2014)
|
학습 대화의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김용(2015)
|
개념적 은유 기반의 한국어 동사 의미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신현단(2015)
|
한국어 문법 교수 지식 교육 연구 – 보조용언 구성을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 |
종장지(2015)
|
한국어 문법교육을 위한 표현문형 연구
|
한국어교육 |
우신영(2015)
|
현대소설 해석교육 연구 – 독자군별 해석텍스트의 분석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전홍(2015)
|
상호연관성 기반의 한국 현대시 이해 교육 연구 – 한ㆍ중 현대시를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 |
박안토니나(2015)
|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소설 감상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제민경(2015)
|
장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이관희(2015)
|
학습자의 지식 구성 분석을 통한 문법 교육 내용의 조직과 표상 연구
|
국어교육 |
제효봉(2015)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모국어 영향 연구
|
한국어교육 |
응웬티후옹센(2015)
|
베트남 인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 주장하는 글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김서윤(2015)
|
고전소설 ‘천상계’의 양면성과 그 소설교육적 의의
|
국어교육 |
강민규(2016)
|
독자 반응 조정 중심의 시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이나향(2016)
|
시조의 생산적 수용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푸옹마이(2016)
|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교육 연구 -텔레비전 드라마 활용을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 |
유나(2016)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구어 담화표지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마릉연(2016)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말뭉치 기반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내용 연구
|
한국어교육 |
박준홍(2016)
|
뉴스 이해 능력 신장을 위한 국어교육 내용 연구 – 틀(frame) 인식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
이슬비(2016)
|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필자 태도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이지수(2016)
|
문법 교육을 위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 연구
|
국어교육 |
강미함(2016)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평서문 간접 화행의 교육 방안 연구 -지시, 거절, 질책 기능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이민형(2016)
|
가치 논제 토론 수업을 위한 설계 기반 연구
|
국어교육 |
서보영(2017)
|
고전소설 삽화 재구성 교육 연구 – <춘향전> 이본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유민애(2017)
|
맥락 중심의 한국어 담화문법 교육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 |
이명봉(2017)
|
문학 비평 텍스트를 활용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황윤정(2017)
|
신화소 중심의 설화 이해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이상아(2017)
|
아이러니를 통한 반성적 시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최주희(2017)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 논문 작성 과정 연구
|
한국어교육 |
신필여(2017)
|
한국어 학습자 담화의 시제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 |
벌러러(2017)
|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김혜진(2017)
|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소설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폴리롱(2017)
|
홍콩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과 거절 화행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 |
조진수(2018)
|
문법 문식성 관점의 문장 구조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박민신(2018)
|
의미 범주 기반 한국어 이유 표현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남지애(2018)
|
문법 탐구 공동체의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백정이(2018)
|
학습 목적의 대화적 발표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이해숙(2018)
|
문법 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과내용지식 연구
|
국어교육 |
박성석(2018)
|
대화 성찰 태도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장성민(2018)
|
귀추적 사고 기반의 학습 목적 글쓰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오윤주(2018)
|
심미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교육 경험 연구
|
국어교육 |
맹강(2018)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증적 글쓰기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홍진혁(2018)
|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박은진(2019)
|
조선시대 소설비평의 소설교육론적 연구
|
국어교육
|
정보미(2019)
|
플롯 중심의 고전소설 교육 연구 -17세기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김지혜(2019)
|
다문화 소설을 통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이종원(2019)
|
시적 주체 구성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홍인영(2019)
|
소설의 수사적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최소영(2019) | 언어 변화 기반 국어사 교육 설계 연구 | 국어교육 |
박혜진(2019) | 표현론적 관점의 단어 형성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권은선(2019) | 디지털 환경에서 청소년의 비판적 문식성 실천에 대한 문화기술지적 사례연구 -대안고등학교 웹저널 동아리 사례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 |
진씨벽봉(2019) | 베트남인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춘향전> 교육 연구 -<취교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이성준(2019) |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채점 변인 연구 -채점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왕녕(2019) |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반한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강효경(2019) | 설득 목적 글쓰기의 양태 표현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강수(2019)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맥락 요인 중심의 상대높임법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서만(2020)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더’ 결합형 연결어미 및 종결어미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신범숙(2020) | 한국어(KSL) 학습자의 학업 문식성 향상을 위한 교과 언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박진희(2020) | 국어 인용 표현의 해석적 사용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진가연(2020) | 윤리성 기반의 시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차경미(2020) | 국어 어휘 수행 전략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강경민(2020) | 한국어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두르순(2020) | 터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감정 표현 어휘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김가람(2020) |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코드 스위칭 양상과 맥락 요인 연구 | 한국어교육 |
장지혜(2020) | 가치 해석 글쓰기의 정당화 기제 생성 연구 | 국어교육 |
소지영(2020) | 학문 문식성 신장을 위한 기능적 메타언어 관점의 문법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최선희(2020) | 문장 구조 교육의 종적 연계 원리와 실제 연구 | 국어교육 |
김풀잎(2020) | 한국어 구어 문법의 종결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박주형(2021) | 시 교육에서 감각적 체험의 구조와 활성화 원리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
박종관(2021) | 비규범 표기 분석을 통한 표기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박성(2021)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인문지식 교육 연구 -한국 현대시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황티장(2021) |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학 문식성 교육 연구 -한국과 베트남 문학 작품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김민재(2021) | 시 인식 중심의 심미적 문식성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정하라(2021) | 한국어 관련 전공 대학원생의 학습 과정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베트남 유학생의 학습생애사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리위(2021) | 조선족 학습자의 경험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이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한설옥(2021) | 번역을 활용한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김효정(2021) | 고전소설의 대화적 이해 교육 연구 -<심청전> 이본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
김정은(2021) | 양태 표현 선택에 대한 문법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딴다죠(2021) |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지언어학적 관점의 격조사 교육 연구 -‘-에’, ‘-에서’, ‘(으)로’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김영(2021) | 구성적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감상교육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 |
웬신(2022)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단모음 발음 교육 연구 –실험음성학적 분석과 학습자의 인식 조사를 활용하여- | 한국어교육 |
진영하(2022)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시간 은유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가맹맹(2022)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억양 교육 연구-핵억양과 말토막 억양의 기능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김혜진(2022) |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조사연속구성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팜홍프엉(2022)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복잡성 및 정확성 연구 | 한국어교육 |
지미영(2022)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장의 호응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양수림(2022)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기발화수정 교육 연구-반성적 실천 기반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양수연(2022) | 내러티브적 의미 구성 중심의 표현 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 국어교육 |
서신웨(2022)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문어 산출에 나타난 복잡성과 정확성 연구-서사와 논증 장르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이지원(2022) | 젠더 의식 중심의 여성영웅소설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장청원(2022) |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김혜진(2023) | 정동 중심의 시 창작 체험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장레이(2023)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표현 습득 및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탕이잉(2023) | 한국어 ‘추측’ 유사 문법 교육 연구-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변별 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
이소연(2023) | 한국어 교사의 교실 경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한국어교육 |
유나(2023)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 영향 요인 연구 | 한국어교육 |
왕임창(2023) | 중국 현대시와의 비교를 통한 한국 현대시의 미적 형식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김소연(2023) |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해석공동체 소통 중심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오기노신사쿠(2023)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구어에서의 조사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 |
이지연(2023) |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적 데이터 설명문 쓰기 연구 | 한국어교육 |
조청화(2023) | 중국 배경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어 발달 연구 – 문어와 구어의 복잡성과 정확성을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 |
정혜란(2023)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감각형용사 의미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김향연(2024) |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오영창(2024) | 시조의 상호주관적 비평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박유현(2024) | 서사적 추론 중심의 소설의 인지적 이해 연구 | 국어교육 |
류연석(2024) | 정서 구성을 통한 고전시가의 심미적 경험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호창수(2024) | 허구 세계 구성 중심의 소설 이해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비자이쿠마(2024) |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거절 화행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위햇님(2024) | 개념 연결 기반 한국어 유의어 교육 내용 연구 – 일본어권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 |
퓨퓨아웅(2024) |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추측 양태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한태구(2024) | 소설에 대한 학습자의 자기 인식 연구: 소설 교육에서 태도 교육의 설계를 위하여 | 국어교육 |
왕효 (2024) |
재중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
강지영 (2024) |
대인 문법 교육 내용 연구 | 국어교육 |
오지은 (2024) |
자원 이론 관점의 문법 지식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박장범 (2024) |
디지털 영상 서사 리터러시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엄진주 (2024) |
현대소설의 교차적 읽기 교육 연구 | 국어교육 |
빈선 (2024)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읽기 교육 연구: 논증적 텍스트에 대한 질문 구성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